소소하고 확실한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에는 세븐스플릭식 투자가 제일인 거 같습니다. 지난 1개월 동안 국내 상장 ETF인 KODEX 200과 KODEX 코스닥 150 두 중목을 이용해서 투자를 해봤는데요. 직장생활에 1도 방해되지 않고 멘탈이 크게 흔들릴 일도 없었어요. 다른 투자를 경험해봐야 해서 세븐스플릿에 투자하던 투자금들을 전부 회수해야 하는 게 아니었다면 좀 더 적극적으로 투자를 했을 거 같아요.
세븐스플릿식 투자 1개월 수익 정산
1개월 동안 ETF 2 종목을 세븐스플릿식으로 투자를 해봤는데요. 한 계좌당 100만 원을 투자하고 0.5%~1% 이상의 수익을 내면 매도하는 식으로 투자했습니다. 한 매매 당 최소 5,000원 이상의 수익을 내면 매도하는 거라 수익금은 매우 소소했지만 매수에서 매도까지의 기간이 길지 않아서 어떤 날은 아침에 매수하고 오후에 매도하는 날도 있었습니다.
0.5%~1% 정도의 수익은 ETF의 변동성만으로도 수익을 실현할 구간은 충분하다는 건 아래의 차트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상향 하든 우하향이든 일직선으로 가진 않기 때문에 그 변동성 구간에서 작지만 확실한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저는 현재는 1번 계좌의 KODEX 200 한 종목만 일부러 남겨두고 전부 매도한 상태인데요.
1개월 동안의 수익금을 정산해 보니까 약 12만 원가량을 벌었더라고요.
매수+매도를 1회전으로 보면 총 16회의 매매가 있었습니다.
이 세븐스플릿 투자는 작년에도 경험을 해봐서 올해는 지금 공부하고 있는 투자를 시작하기 전까지만 하기로 계획하고 시작한 거라 투자금이 크진 않지만 장기간 물리면 안 되기에 적극적으로 투자하지 않았는데요.
작지만 확실한 수익을 주는 투자법임에는 틀림없었습니다.
아래는 작년에 세븐스플릿 투자를 해보고 장단점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https://mudo-jang.tistory.com/entry/세븐스플릿투자-2개월도전후기
저는 위의 포스팅에서 세븐스플릿 투자에 적합한 유형과 장점을 나열했는데요. 그런 부분에서 저랑 이 투자법이 잘 맞는 거 같더라고요.
그래서 몇 달 후에 다시 시작할 거라 1번 계좌를 일부러 남겨뒀습니다. 다시 시작하게 될 때 1번 계좌 다음에 이어서 시작하려고 합니다.
'재테크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쿼리인프라 유상증자 신주 발행가액 확정 공시 (0) | 2023.07.28 |
---|---|
채권 ETF도 주식처럼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0) | 2023.07.22 |
맥쿼리인프라 유상증자 (0) | 2023.07.16 |
엔화투자 왕초보자의 엔테크 도전 이유와 방법 (3) | 2023.06.26 |
퇴직연금 DB형 DC형을 초보자용으로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5) | 2023.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