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퀀트

퀀트로 투자 종목 선정 후 실제 매수할 때 당황하게 되는 순간

by 개미 직장인 J 2022. 8. 9.

퀀트로 종목 선정 후 실제 매수하려고 할 때 당황하게 되는 순간

퀀트로 전략을 세우고 종목 선정까지 한 후 다음 날 매수하려고 그 종목을 조회하면 주가가 갑자기 폭등해서 당황하게 되는 순간이 있습니다. 특히 소형주 매수하려고 할 때 이런 일이 발생하는데요. 이럴 때는 해당 종목의 매수를 보류하고 주가가 왜 급등했는지를 먼저 확인 후 매수할지 종목을 교체할지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수하려는 종목의 주가가 폭등하고 있을 때 확인해야 할 사항

  • 주가 차트와 거래량 확인
  • 공시 내용 검색
  • 뉴스 검색

저는 퀀트 전략 1개당 20 종목을 매매하는데요. 보통 때는 매매가 끝나면 그 종목들을 다시 보게 되는 일은 없는데 SHD 종목 같은 경우는 우연히 차트를 보게 되면서 다음 매매에 참고하면 좋겠다 싶어서 확인하게 됐습니다.

이 종목으로 매수하려고 계획했던 종목이 갑자기 주가 폭등할 때 확인해야 할 사항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주가 차트 확인 : 차트는 일봉+주봉+월봉을 한 번씩 다 확인합니다.

종목명 : SHD (코스피 상장)

현재 시점 시가총액 : 394억 원

상장주식수 : 약 122만 주

 

이 종목의 일봉 차트를 보면 6/3~6/20까지 비정상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SHD-일봉주가차트
SHD-일봉주가차트

 

만약 투자자가 6월 2일 투자 전략대로 종목을 선정하고 6월 3일 매수하려고 했는데 저 위의 차트처럼 갑자기 거래량 터지면서 폭등한 주가를 마주하면 당황할 수밖에 없습니다. 주봉과 월봉 차트로 장기 흐름을 보면 소형주라 그런지 평소 없던 거래량이 터지면서 이런 이상 흐름을 보이는 때가 간혹 있기는 했었지만 폭등 후엔 다시 주가 하락으로 원래 흐름을 찾는 것이 이 종목의 패턴이었던 걸로 보이고 이런 적이 일단 처음이 아니라는 건 확인했으니 혹시 이런 급등이 있을만한 공시 내용이 있었는지 확인하겠습니다.

 

2> 전자공시시스템 DART에 접속해서 새로운 공시가 있었는지 확인합니다.

공시를 보면 6월 3일 '최대주주등소유주식변동신고서'가 제출되었는데 내용을 보니까 최대주주 중에 보유지분을 매도한 내역이 공시되었습니다. 보통 최대주주가 지분을 매도하면 호재만은 아닐 거 같은데 대표이사를 포함한 최대주주들이 전부 친인척 관계로 전체 주식의 51.56%를 차지하고 있어서 유통주식수가 워낙 적다 보니 이걸 호재로 받아들일 수도 있지만 이 정도로 급등의 이유가 될까 싶습니다.

 

이 기업은 시총 400억 미만의 기업인 걸 감안해도 상장주식수가 122만 주로 비슷한 시총의 기업들과 비교해도 너무나 적습니다. ETF나 ETN의 상장 주식수도 이 기업보다 높은 종목이 훨씬 많을 정도입니다.

가뜩이나 유통 물량도 적은 122만 주 중에 최대주주가 51.56%나 보유하고 실제 투자자가 거래하는 물량은 48.44%밖에 되지 않으니 주가 폭등과 폭락이 어렵지 않게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라 여겨집니다.

공시까지 확인했지만 급등 이유를 아직은 이해하지 못하겠으니 다음은 미처 공시에 반영하지 못한 뉴스가 있나 확인하겠습니다.

 

3> 급등을 설명해줄 만한 뉴스가 있었는지 검색해봅니다.

6월 3일 기사 중에 아래와 같은 기사들이 있었습니다.

이번 주가 상승은 SHD가 지난달 16일 공시한 분기보고서에 담긴 올해 1분기 호실적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공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SHD 매출액은 전년 동기에 비해서 22.04% 늘어난 282억 7197만 원을 기록했다.
-핀포인트 뉴스
3일 오후 1시 15분 SHD 주가는 전일 대비 27.88% 급등한 42,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해당 시간 거래량은 403,076주다. 이런 상승세는 두 달 넘게 이어진 중국 상하이 봉쇄 조치가 해제되면서 중국 경제가 활력을 회복하리라는 전망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유진투자증권은 특히 국가 중대 건설 프로젝트가 집중 착공됨에 따라 지난 2014년, 2016년에 중국의 인프라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뤄졌던 교통, 운수, 건축, 철강 등을 수혜업종으로 뽑았다. SHD는 석도강판의 제조기술을 해외에서 인정받아 PLANT 수출을 중국에 2차례 한 바 있다.
-더드라이브

주로 이런 내용의 기사들이 매체만 다르게 발행되었습니다. 우선 실적에 따른 급등이라고 하면 지난달 16일 공시 내용이 5월 아니고 6월에 와서 이렇게 급등할 리는 없어 보입니다.

 

그다음 중국 상하이 봉쇄 조치 해제에 따른 수혜업종은 테마주 성격이 강해 보이는데요. 아마도 이 종목의 급등은 이 테마성을 타고 오른 걸로 추정됩니다. 이런 테마주들은 단타로 접근하는 게 아니라면 일단 바로 매수는 보류하고 며칠간 주가가 평소 패턴을 찾는지 지켜보고 매수하거나 다른 종목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