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퀀트

경제지표를 이용한 MDD와 수익률 개선 퀀트 백테스트 (유가&월간 순수출)

by 개미 직장인 J 2022. 9. 22.

경제지표를 이용한 MDD와 수익률 개선 퀀트 백테스트 (유가&월간순수출)

퀀트킹에서는 여러 경제지표를 볼 수 있어서 계속 살펴보다가 몇 가지로 백테스트를 해봤는데 유가(WTI)와 월간 순수출 (월간 수출액-월간 수입액)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특히 대형주보다는 소형주에서 MDD와 수익률에서 뚜렷한 개선 효과가 있었는데요. 이 두 경제지표를 이용한 백테스트 결과를 보겠습니다.

 

기본 퀀트전략

퀀트킹에서 제공하는 퀀트 전략 중에 "고성장+저밸류+고마진" 전략을 이용해서 백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이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외기업, 스팩, 금융, 지주사 제외)

  • OPM(영업이익률) 높은 기업 순
  • ROE 높은 기업 순
  • PBR 낮은 기업 순
  • PER 낮은 기업 순
  • 부채비율 최대 200% 낮은 기업 순 필터
  • 분기 매출액 증가율(YOY/QOQ) 높은 기업 순
  • 분기 영업이익 증가율(YOY/QOQ) 높은 기업 순
  • 분기 지배주주 순이익 증가율(YOY/QOQ) 높은 기업 순

위와 같은 전략을 코스피/코스닥 전체 시가총액을 대상으로 분기 리밸런싱 하는 걸로 백테스트를 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고성장-저밸류-고마진-퀀트백테스트
고성장-저밸류-고마진-퀀트백테스트

연평균 수익률에 비해서 MDD가 너무 높게 나옵니다.

 

기본 퀀트 전략에 경제지표 적용한 백테스트

위의 기본 퀀트 전략에 다른 조건은 동일한 상태에서 유가(WTI)를 최대 100 이하로 적용해서 백테스트를 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연평균 수익률은 23.9->25.7%로 소폭 상승하고 MDD는 40.5%로 동일합니다.

이번엔 유가 대신 월간 순수출을 최소값 0으로 적용해서 마이너스 구간을 제외하고 백테스트를 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연평균 수익률은 23.9->26.1%로 소폭 상승하고 MDD는 40.5%로 유가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렇게 시가총액을 대형주 포함한 전체를 대상으로 했을 때는 위와 같이 수익률에서만 소폭의 개선 효과가 있었는데요. 이번엔 시가총액을 소형주로 제한을 두고 백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시가총액 하위 30%의 소형주를 대상으로 경제지표 적용한 백테스트

경제지표를 적용하기 전에 기본 퀀트 전략을 시가총액을 하위 30%를 적용해서 백테스트를 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시가총액하위30%-퀀트백테스트
시가총액하위30%-퀀트백테스트

대형주를 포함한 전체 시가총액을 대상으로 했을 때보다는 연평균 수익률, MDD, 승률 모든 면에서 개선의 효과가 있었는데요. 여기에 유가와 월간 순수출 경제지표를 적용해서 다시 백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1> 유가(WTI) 최대값 100 이하를 적용한 백테스트

유가팩터적용-백테스트결과
유가팩터적용-백테스트결과

유가 팩터를 적용했더니 연평균 수익률도 좋아졌지만 MDD에서 효과가 더 컸습니다. 전체 시가총액을 대상을으로 했을 때의 MDD는 40.5%였는데 시가총액 하위 30% 대상으로 유가 팩터를 적용했더니 22.9%로 약 43.5% 정도 MDD를 낮추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2> 월간 순수출 최소값 0 이상을 적용한 백테스트

월간순수출적용-백테스트결과
월간순수출적용-백테스트결과

월간 순수출 최소값을 0 이상으로 적용하니 유가 팩터를 적용했을 때와 결과가 거의 비슷한데 승률이 67.8%->69.2%로 개선이 되었습니다. 

월간 순수출 경제지표를 적용한다면 2022년에는 1월부터 9월 현재까지 투자를 멈춰야 하는 구간에 있습니다.

 

유가와 월간 순수출 경제지표를 동시에 적용하면 어떻게 될까 백테스트도 해봤는데 수익률이 더 떨어지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