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초보자의 생애 첫 퀀트 투자 도전 결과와 코스닥 소형주 분기 투자전략
상승장에서도 투자에 실패했던 주식 초보자가 첫 퀀트 실전 투자를 통해서 어떤 결과를 거뒀을지, 과연 초보자가 퀀트로 주식 투자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지, 실전 투자를 통해서 느낀 퀀트가 어떤 투자자에게 적합한 투자이고 어떤 점을 유의하면 좋을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퀀트 투자의 정의와 퀀트 투자에 필요한 기본 용어들
- 실전 투자 전략과 그 결과
- 퀀트 투자가 적합한 투자자와 유의점
퀀트(Quant) 투자의 정의와 퀀트 투자에 필요한 기본 용어들
퀀트는 주관적 판단을 완전히 배제하고 오직 숫자의 기반을 둔 통계를 이용해서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시가총액 하위 30% 기업들 중 PBR, PER이 낮은 기업 중에서 매출액, 영업이익 증가율이 전년 대비, 전 분기 대비 높은 업체들의 순위를 매겨 1위~20위까지의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퀀트 투자라고 합니다. 퀀트는 선택과 집중보다는 보통 20 종목 내외로 투자하는 분산투자 방식입니다.
다음은 퀀트 투자하실 때 알아두면 좋은 기본 용어들입니다.
- 백테스트 : 투자 전략을 과거 데이터에 적용해서 그 전략으로 과거에 투자했으면 어떤 결과를 냈을지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을 백테스트라고 합니다. 백테스트를 통해서 투자자가 생각한 전략의 수익률이나 MDD 등을 확인하면서 본인이 견딜 수 있을 전략인지 폐기해야 하는 전략인지 판단하게 됩니다.
- MDD (maximum drawdown) : 특정 투자 기간 중 겪을 수 있는 최대 손실로 MDD가 너무 크면 일단 원금 회복이 어렵고 투자자의 심리가 무너지기 쉽기 때문에 퀀트 투자의 백테스트에서 수익률 못지않게 중요한 개념입니다.
- 팩터 : 시장 대비 초과수익을 낼 수 있게 하는 요인을 뜻하는데 숫자로 통계를 낼 수 있는 다양한 팩터를 조합해서 투자의 전략을 세우게 됩니다. 예를 들어 배당이란 팩터와 밸류 팩터를 조합해서 시가 배당률 5% 이상인 기업 중에서 PBR과 PER이 낮은 20개 기업에 투자하겠다고 전략을 만들 수 있습니다.
- 리밸런싱 : 주기적으로 투자 비중을 목표한 비중으로 맞춰주는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채권과 주식 비중을 5:5 비율로 1년 주기의 리밸런싱 하겠다고 목표를 세웠다고 해보겠습니다. 투자 1년 후 채권과 주식 비중이 3:7로 바뀌었다면 주식을 2만큼 매도하고 채권을 2만큼 매수해서 다시 5:5 비율로 맞춰주는 과정을 리밸런싱이라고 합니다. 이건 자산 배분에서의 리밸런싱이고 퀀트로 주식 투자만 한다고 하면 투자 전략의 기간에 맞춰서 종목을 교체해주는 것도 리밸런싱입니다.
- 슬리피지 : 주식을 매매할 때 원하는 가격에 체결되지 않아서 매수할 때 비싸게 매수하고 매도할 때 싸게 매도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주로 투자 금액이 크거나 거래량이 적은 소형주 매매를 하게 될 때 발생하게 됩니다. 거래량이 적은 소형주들은 호가 사이의 갭도 크고 시장가로 거래를 하려고 해도 물량이 부족해서 체결이 쉽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원하는 만큼 매수하기 위해 호가를 밀어 올리면서 매수하고 매도 시에는 호가를 내리면서 매도하게 되기도 합니다.
실전 투자 전략과 결과
실전 투자 전략 : 코스닥 시총 하위 30%+ 수익성 팩터 2(OPM+ROE)+밸류 팩터 2(PBR+PER)+안정성 팩터 1(부채비율)+성장성 팩터 6(분기 매출액 증가율 YOY&QOQ, 분기 영업이익 증가율 YOY&QOQ, 분기 순이익 증가율 YOY&QOQ)
투자종목과 결과 (투자기간 : 1월 중순 매수-4월 중순 매도)
총 20 종목을 종목 당 10만 원씩 균등하게 매수하고 매도하는 날까지 이 전략에 어떤 개입도 하지 않고 계좌를 중간에 한 번도 확인하지 않고 목표한 매도 시기까지 기다렸습니다. 소형주들은 워낙 변동성이 심하고 작전 세력에 의해 주가가 요동치는 일도 있기 때문에 중간에 계좌를 확인했다면 전략을 끝까지 유지하는 게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위의 리스트에서 보듯이 퀀트 종목 군에서 소수의 종목이 그 전략 전체의 수익을 결정짓게 되는데 저 전략에서는 단연 "한일사료"가 빛났습니다. 이 종목이 약 186% 정도의 상승률을 보이며 전체 계좌의 수익을 상승으로 이끌었습니다. 이 전략에서 계좌 전체의 수익은 약 16%가량 됩니다.
퀀트 투자는 아래와 같은 사람들에게 적합할 거 같습니다.
- 주식 투자는 하고 싶은데 바쁜 생활로 개별 종목을 공부하고 선택해서 투자하기 어려운 직장인
- 열심히 시황 방송도 보고 종목 공부도 해서 개별주 투자를 했으나 중간중간 심리가 흔들려서 손절을 자주 하는 투자자
- 도대체 어떻게 종목 선택을 해야 할지 막막한 투자자
- 개별주 장기 투자에 회의감이 드는 투자자
- 펀드로 장기 투자를 했는데 은행의 예, 적금보다 못한 결과를 보고 펀드 수수료 내고 이런 결과를 볼 거면 손실을 보더라도 직접 투자하면서 투자의 감을 익혀가겠다는 투자자
퀀트 투자는 인내심을 갖고 투자 전 계획한 리밸런싱 시기까지는 전략을 끝까지 유지해야 하는데 뉴스와 방송에서 주식 관련 소식이 워낙 많이 쏟아지니 중간에 전략에 개입하고 싶어지는 순간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예를 들어 내 종목이 갑자기 상한가를 치게 됐는데 주식 초보자는 이런 경우 꼭 수익 확정을 짓고 싶어 하기 마련이라 강철 정신력이 아니라면 매도 시기까지 계좌를 열지 않는 편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백테스트 결과는 과거의 데이터를 보여주는 거라 너무 맹신하지 말고 전략을 세우고 유지하는데 참고용으로만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퀀트-유가(WTI) 팩터가 수익률과 MDD에 효과적인지 백테스트 검증 (0) | 2022.08.11 |
---|---|
퀀트 저PER+저PBR 저밸류 전략과 안정성 팩터(당좌비율,유동비율,부채비율)를 추가했을 때의 차이점 비교 (0) | 2022.08.10 |
퀀트로 투자 종목 선정 후 실제 매수할 때 당황하게 되는 순간 (0) | 2022.08.09 |
퀀트 초보자의 소형주 월간 전략 실전 투자 후 깨닫게 된 점 (0) | 2022.08.08 |
MDD에 집착한 보수적인 주식 초보자의 퀀트 투자 전략-과최적화 의심 (0) | 2022.08.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