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공식 (저PER+고ROE) 퀀트 전략과 수익률 개선한 백테스트
퀀트 전략 중에 수익성 지표로 ROE가 높은 기업과 밸류 지표로 PER이 낮은 기업에 투자하는 마법공식 전략이 있습니다. 이렇게 단순 조합만으로 과연 수익이 제대로 날 수 있는지와 이 전략의 지표를 하나를 변경해서 수익률을 높이는 백테스트를 해봤습니다.
기본 마법공식 백테스트
퀀트킹에서 기본 세팅된 마법공식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ROE 높은 기업 순
- PER 낮은 기업 순
- 부채비율 최대 200% 이하 낮은 기업 순
위와 같은 전략을 코스피 코스닥 전체를 대상으로 분기 리밸런싱으로 백테스트를 진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중국기업, 스팩, 금융, 지주사 제외)
수익률에 비해 MDD와 거래정지 종목수가 너무 높게 나와서 개선이 필요하겠는데요.
대형주에선 ROE가 높은 종목이 많지 않아서 위와 같은 전략을 시가총액 하위 20%의 소형주만을 대상으로 다시 백테스트를 해봤습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마법공식을 소형주만을 대상으로 백테스트를 했더니 수익률은 거의 2배 가량이 높아지고 MDD는 낮아지면서 거래정지 종목수가 0으로 개선되었습니다. 승률도 높아져서 마법공식도 소형주에서 더 잘 통한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전략도 코로나 시기의 수익률이 평소 대비 2~3배 이상 너무 급상승해서 그 시기를 제외하고 2008년 7월~2020년 2월까지의 기간으로 다시 백테스트를 해봤는데요.
이렇게 하면 수익률이 24%로 소폭 낮아지긴 했지만 변동성이 7.5->6.7로 낮아지고 승률도 비슷하고 거래정지 종목수 0에도 변동이 없었습니다.
아래는 이 기간의 월간 누적 수익률 그래프입니다. 보라색 선이 이 전략의 월간 누적 수익률을 나타냅니다.
이 전략의 수익률이 장기 우상향 곡선을 나타낸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리밸런싱 기간은 분기로 투자했을 때가 가장 수익률이 좋았습니다.
마법공식 변형 백테스트 (수익률 개선)
마법공식을 약간 변형하면 수익률을 더 높일 수 있지 않을까 해서 수익률에만 집중을 해봤습니다. ROE가 자본 대비 얼마나 수익을 냈는가를 나타내는 수익지표니까 PER은 단순 저PER이 아닌 EPS 증가율을 반영한 PEG 지표 중에서도 최근 실적을 반영한 분기PEG 지표의 조합으로 백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이 전략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ROE 높은 기업 순
- 분기PEG 낮은 기업 순
- 부채비율 최대 200% 이하 낮은 기업 순
- 시가총액 하위 20% 높은 기업 순
위와 같이 마법공식에 변형을 준 전략과 기본 마법공식 전략의 백테스트 결과를 비교해서 보겠습니다.
기본 로직은 기본 마법공식 결과이고 비교 로직이 분기PEG 지표를 사용한 전략입니다.
PER 대신 분기 분기PEG 지표를 사용하니까 수익률이 약 68%가량 더 좋아지고 승률도 약 12%가량 좋아졌습니다. 대신 MDD도 13%가량 높아지고 거래정지 종목수도 3 종목으로 늘었습니다.
장점과 단점이 공존하는 상황이지만 월간 수익 누적률 그래프를 보면 단점이 작아 보일 정도인데요. 아래는 이 두 전략의 수익률 그래프입니다.
빨간색 선이 마법공식 기본 전략, 파란색 선이 분기PEG지표를 사용한 비교 전략의 월간 수익 누적률 그래프입니다.
두 전략의 수익률이 시간이 갈수록 더 벌어지다 보니까 MDD나 거래정지 종목수를 감안하더라도 분기 PEG 지표를 사용한 전략이 더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가배당률에 따른 연간 수익률과 MDD 변화 백테스트 (0) | 2022.09.13 |
---|---|
퀀트 초보자에게 퀀트킹을 강력히 추천하는 이유 (0) | 2022.09.10 |
벤저민 그레이엄의 NCAV 퀀트 전략 백테스트 (0) | 2022.09.02 |
고PER 기업도 저PER 기업보다 저평가일 수 있는 PEG 팩터를 이용한 퀀트 백테스트 (0) | 2022.08.30 |
퀀트-소형주에 팩터를 단순하게 적용했을 때 의외의 고수익률 (매출 vs.영업이익) (1) | 2022.08.26 |
댓글